2021년 1분기 그리고 2분기 어마어마한 인플레이션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작년 코로나 사태로 원유가격이 대폭락을 했던시기인 1,2분기와
2021년 60달러선인 원유가격은 기저효과로 인해 엄청난 상승률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단순 착시현상이라고 치부하고 시장은 계속 더 달릴 수 있지만
경기회복 산업생산회복 저금리에 기인한 건설경기붐은 원자재수요를
대폭증가시키고 있고 원유수요 역시 폭증할 것이다.
거기에 미국 바이든정부의 대규모부양책이 다시한번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면 인플레이션은 2008년 이후 무지막지하게 풀어댄 유동성에 대한
이자까지 톡톡히 쳐서 갚아야 할거다.
자산시장의 버블은 더 커질거고 연준이 어쩔 수 없이 금리를 올리는 시점이
되어서도 자산은 더 커질거고, 금리를 과격하게 올리는 순간이 되어서야
거대한 버블이 터지게 될거다.
우선 2021년 1분기부터 나올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거의 40년만에 경험해보자.
스페인독감 이후 V자 반등을 했던 주식시장. 하지만 이후 바로 찾아온
세계 대공황은 연준의 금리조절 실패였고 지금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비교를 하는데, 이번에도 버블이 터지면 추후 역사는 연준의 과격한
금리인상에 기인했다고 기록하게 될까?
2021/01/20 -스페인독감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경제는?
스페인독감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경제는?
스페인 독감이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와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최신의 팬데믹 상황이었다. 스페인에서 유행한게 아니라 스페인에서 유의미한 자료들을 가장 많이 확보할 수 있었고 1차세계대전
comoestasparami.tistory.com